반응형
주로 쓰는 리눅스 명령어들
cp : 복사하기 |
cp (복사될 파일) (복사할 이름,디렉토리 포함가능) ex)cp (파일1.txt) (./디렉토리1/파일2.txt) |
cd : 디렉토리이동 |
cd (이동할 디렉토리) |
vi : 파일수정 작업 |
vi (수정할 파일) ex)vi (upload.php)/vi (upload.py)/etc ... |
mv : 파일이동or이름바꾸기 |
mv (이동될 파일) (이동할 디렉토리 or 바꾸고싶은이름) ex)mv (바보.jpg) (바보.txt)/ mv (a.py) (./dir/b.py) |
ls 또는 ls -al : 파일리스트 |
ls 또는 ls -al ※-al 옵션이 붙으면 보이지않던 스왑파일이나 . ..과 같은 디렉토리가 보임 |
mkdir : 디렉토리생성 |
mkdir (디렉토리 이름) |
rmdir : 디렉토리삭제 |
rmdir (삭제될 디렉토리 이름) ※디렉토리안이 싹 비워져있어야함! |
touch : 빈파일 만들기 |
touch (파일이름) |
rz : 윈도우에서 파일가져오기 |
rz ※rz기능이 리눅스상에 설치되어있어야함! |
sz : 윈도우로 파일보내기 |
sz (보낼파일이름) |
ls -al 과 같은 경우에는 그냥 파일이름 뿐만아니라 소유자가 누구고 권한은 어떻게 되는지 다 나온다.
rz나 sz기능은 바이너리 파일을 리눅스와 윈도우 사이에서 왔다갔다 할 때 꽤 유용하다. (보통 리눅스와 연결해주는 sftp를 주로 사용하기도함)
반응형
'<보안 study> > 시스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Win-AFL 퍼저 빌드과정 (1) | 2022.08.11 |
---|---|
[PoC] log4shell(CVE-2021-44228) (0) | 2021.12.12 |
[CodeGate_OpenCTF] csurself (0) | 2019.03.29 |
RTL기법이란? (Return To Library) (0) | 2018.07.26 |
함수 프롤로그(prologue) 에필로그(epilogue) (0) | 2018.07.26 |